한화투자증권 | 방향성이 바뀌는 구간
1. 리포트제목 - Hanwha FI Weekly : 방향성이 바뀌는 구간
한화투자증권 -> 투자정보 -> 투자전략 -> 채권전략 -> 2022년 8월 16일, 채권전략 김성수
투자전략 > 투자정보| 한화투자증권
www.hanwhawm.com
한경 컨센서스
https://markets.hankyung.com/consensus/view/612757
https://member.hankyung.com/apps.frame/login?url=https://markets.hankyung.com/consensus/view/612757
member.hankyung.com
2. 자료 & 자료 내용 요약
표지
물가, 고용의 동반 Peak Out에도 연준은 제 갈 길을 간다
연준 통화정책 목표 두 가지
물가 : 매우 나쁨 -> 나쁨
고용 : 매우 좋음 -> 좋음
2주 전 발표된 고용 지표도 고용의 고점 통과 시사
물가와 고용의 Peak Out이 동반 진행
위와 같은 변화 조짐에도 연준의 정책과 방향 바뀌지 않을 것
고용은 긴축을 상당 기간 견딜 수 있을 것, 물가는 지속적인 긴축 필요
당사 기존 연말 기준금리 전망 유지(3.50%, 9월 +50bp, 11,12월 각각 +25bp)
기준금리 인상, 2023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
최대 4.00%을 금번 인상 사이클 고점 판단
조금 더 오를 때, 그 때가 매수 타이밍
최근 국고채 되돌림 장세 시현
IRS 스프레드는 단기 구간 위주로 재차 반등하는 모습
불확실성 감소, 물가의 수준과 정책 경로, 당장 금리의 하락을 용인하기 어려움
금리 되돌림, 상승 단기적
당사의 기준금리(한국 : 3.0%, 미국 : 3.50%) 전망 대비 국채 금리 전망치가 낮은 것이 비정상
하지만 연초부터 이어지는 시장의 상황, 비정상적 감안할 필요
금리의 빠른 추세 전환도 가능, 비정상적인 시장에서 비정상적인 금리 레벨 전망, 이상하지 않음
당장 적극적 매수 조심스러움, 국고 3년 3.28%, 국고 10년 3.35% 레벨 부근부터 매수 관점 접근이 적절
본문
주간 채권시장 동향
지난 주 글로벌 채권 금리, 위험자산 선호 심리에 연동, 신흥국 금리는 대체로 하락, 선진국 금리는 대부분 상승 마감
미국 7월 CPI가 예상치를 하회, 채권시장 강세 압력으로 이어지지는 못함
미국 단기 금리, 연준의 지속적인 긴축 시사로 상승
=> 국가별 금리 흐름 차별화
국고채 금리, 장기 구간 위주로 상승, 베어 스티프닝 양상
최근 하락 폭을 되돌리는 중, 미국 금리에 연동되며 상승 압력이 우세한 흐름
글로벌 주식시장 위주 강세, 금리를 끌어올리는데 일조
=> 국고채 금리는 상승
연준 통화정책 목표 두 가지
물가 : 매우 나쁨 -> 나쁨
고용 : 매우 좋음 -> 좋음
2주 전 발표된 고용 지표도 고용의 고점 통과 시사
물가와 고용의 Peak Out이 동반 진행
=> 가장 중요한 것들도 금리 상승 제한 시작
7월 미국 CPI 전년 동기대비 8.5% 상승, 예상치 하회
근원 물가 역시 예상치 하회, 물가의 고점 확인
=> 미국 7월 CPI, 헤드라인, 근원 모두 둔화
실업률 또 다시 저점을 경신
7월 민감 부문 고용자 수 1.3억명, 코로나 직전 고용자 수를 약 62.9만명 상회
코로나 직전 미국 내 고용 환경도 역사적 수준의 호조였음을 감안할 필요
=> 고용은 코로나 직전 수준에 거의 근접
Powell 의장이 강조한 '핵심 연령층'과 '취약계층' 고용 환경도 견조
-> 구조적 변화, 경제활동 참여율 증가세 더딤
하지만 참여율 자체는 코로나 이전 수준에 근접, 상회
=> 질적인 고용 개선도 사실상 코로나 이전 수준
물가의 둔화, 고용 과열의 완화 조짐
하지만 연준의 정책과 방향은 결코 바뀌지 않을 것
두 가지 지표 모두 아직 매우 높고, 낮음
고용은 긴축을 상당 기간 견딜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물가는 지속적인 긴축이 필요
=> 연준의 정책 방향, 강도는 변하지 않을 것
당사 기존 연말 기준금리 전망 유지(3.50%, 9월 +50bp, 11,12월 각각 +25bp)
기준금리 인상, 2023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
최대 4.00%을 금번 인상 사이클 고점 판단
=> 연말 기준금리 3.50% 2023년 최대 4.00%
높은 물가 레벨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반감, 하루이틀 이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
이제는 물가의 고점도 확인, 물가가 야기하는 시장 변동성은 계속해서 줄어들 전망
=> 물가 발 시장 변동성은 계속해서 약화될 것
최근 국고채 되돌림 장세 시현
IRS 스프레드는 단기 구간 위주로 재차 반등하는 모습
불확실성 감소, 물가의 수준과 정책 경로, 당장 금리의 하락을 용인하기 어려움
=> 국고 금리 되돌림 장세 이어질 수 있지만
금리 되돌림, 상승 단기적
당사의 기준금리(한국 : 3.0%, 미국 : 3.50%) 전망 대비 국채 금리 전망치가 낮은 것이 비정상
하지만 연초부터 이어지는 시장의 상황, 비정상적 감안할 필요
=> 상승 추세는 이제 끝
시장의 상승 추세는 끝남
변동성도 절정 구간 통과, 때문에 비우호적인 투자 환경은 개선될 것
당장 적극적 매수 조심스러움, 국고 3년 3.28%, 국고 10년 3.35% 레벨 부근부터 매수 관점 접근이 적절하다는 판단
=> 국고 3, 10년 3.25%, 3.32%는 매수 접근 레벨
중앙은행 인사 발언 주요 내용
3. 새로 알게 된 용어 및 개념 정리
IRS 스프레드
금리스왑을 의미하는 IRS( Interest Rate Swaps)란 금리변동위험 헤지 및 차입비용 절감 등을 위하여 거래당사자간에 원금교환 없이 정기적(3개월)으로 변동금리(91일물 CD금리)와 고정금리(IRS금리)를 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http://www.bulmanzero.com/news/articleView.html?idxno=28484
[30초 경제용어] 금리스왑 - 불만닷컴
금리스왑을 의미하는 IRS( Interest Rate Swaps)란 금리변동위험 헤지 및 차입비용 절감 등을 위하여 거래당사자간에 원금교환 없이 정기적(3개월)으로 변동금리(91일물 CD금리)와 고정금리(IRS금리)를
www.bulmanzer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