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포트 제목 - 한국도 빅스텝 해야할까
출처 : http://www.ds-sec.co.kr/bbs/board.php?bo_table=sub03_03&wr_id=1064, DS투자증권 손호성 이코노미스트
[DS 매크로] 한국도 빅스텝 해야 할까 > 투자전략/경제분석 | DS투자증권
투자전략/경제분석 DS투자증권이 고객과 함께 걸어나갈 밝은 미래와 가능성을 추구합니다. [DS 매크로] 한국도 빅스텝 해야 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리서치 댓글 0건 작성일 22-06-27 10:35 본문 2022.
www.ds-sec.co.kr
2. 자료 & 자료 내용 요약
1. 금리역전에 의한 원화 약세 심화 가능성
경기 둔화 전망에 따른 달러 강세를 보임
달러 강세의 원인으로 안전 자산(국고채, 달러, 금, 은)에 대한 선호,
실물 자산인 원자재(산업금속, 에너지, 농산물) 시장의 강세,
미국의 기준금리 빅스텝에 따른 금리 격차 축소가 원인으로 작용함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외환보유액의 감소폭 최대치를 보임
https://www.yna.co.kr/view/AKR20220704131300002?input=1195m
6월 외환보유액 94억달러 줄었다…금융위기 후 최대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유아 기자 =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에 따른 외환시장 안정 조치가 단행되며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이 한 달 새 94억달러나 줄...
www.yna.co.kr
미국과 한국의 기준 금리는 현재 동일 하지만 각 나라 동일 만기 채권의 시장 금리가 이미 역전된 상황
7월 FOMC 회의를 통해 75bp 인상이 유력해 보이며 이에 따른 한국은행 역시 추가적인 기준 금리의 가능성이 높아 보임
여기에 한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국내 내수 시장 축소까지 고려해야되는 어려운 상황에 있음
2. 한국 수출 16개월만에 둔화
지정학적 특성상 내수 비중이 낮은 한국은 글로벌 교역의 바로미터로 불림
수출 감소의 원인으로 조업일수 부족, 인플레이션, 글로벌 금리인상 동조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가 크게 기인함
무역 수지 악화가 추가적인 원화 약세(국외에서 벌어들이는 달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에 대한 대응이 필요함
이에 따른 자본 유출이 불가피하며 해외 자본 유치의 인센티브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
->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상을 단행해야할 가능성이 높아짐
3. 미국 기존주택판매 반등
모기지 금리가 상승하면서 주택수요의 감소가 전망 되었던 것에 반해 크게 반등함
전월(5월) 주택 공급이 크게 늘어난 것이 수요와 맞물려 판매량이 급등한 것으로 판단
모기지 금리가 높음에도 주택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른 높은 가격이 유지가 될 것으로 전망
주택 가격 상승이 소비자물가 상승에 녹아 들어 주거 비용(물가 상승)에 기인할 것으로 전망됨
-> 미국이 기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줌
3. 새로 알게된 용어 및 개념 정리
연준 기준금리가 빅스텝을 밟음으로 국내 시장에 자금이 유입될 인센티브가 사라졌다는 점
이에 더하여 경기 둔화 전망에 따른 안전 자산 선호, 원자재 시장 강세, 무역 수지 악화가 원화 약세를 더욱 부추기게됨
미국이 기준 금리를 올려 한미 금리격차 축소에 따른 자금 유출이 심화된 것, 글로벌 경기 둔화가 원화 약세의 주된 원인이됨
여기에 더하여 미국의 강한 주택 수요가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주어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음
이러한 자료를 통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더욱더 힘을 실어주게 된다는 점
4. 마인드맵
5. 궁금한점
미국의 기준 금리 상승이 높은 확률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했을때
1. 한국 은행 역시 금리를 올릴 경우 확대된 LTV 상한과 함께 부동산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
2.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3. 해외 자본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방안
4. 한미간 금리차를 비교할때 6개월물 한국통안채와 6개월물 리보금리를 사용하는 이유
'리포트 분석 > 매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진투자증권 | 韓 소비자물가, 6% 이제 시작 (2) | 2022.07.12 |
---|---|
IBK투자증권 | 한은 긴축이 강하지만 길지 못할 것으로 보는 이유 (0) | 2022.07.08 |
메리츠증권 | 한국 6월 수출입 실적의 시사점 (0) | 2022.07.07 |
한화투자증권 | 6월 한국 수출 : 상반기는 좋았다 (0) | 2022.07.07 |
SK증권 | 소화를 시켜야 할 것들, 넘어야 할 것들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