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포트 분석/매크로

한화투자증권 | 중국, 경기 회복은 계속된다

1. 리포트 제목 - Macro Review 중국, 경기 회복은 계속된다

한화투자증권 -> 투자정보 -> 투자전략 -> 국내외 경제 -> 2022년 7월 15일, 임혜윤 이코노미스트

https://www.hanwhawm.com/main/research/main/view.cmd?depth3_id=rpt_m8&depth2_id=1003&mode=depth2&seq=58057&p=&depth3_nm=%EA%B5%AD%EB%82%B4%EC%99%B8%20%EA%B2%BD%EC%A0%9C&templet=default 

 

투자전략 > 투자정보| 한화투자증권

 

www.hanwhawm.com

 

한경 컨센서스

https://markets.hankyung.com/consensus/view/611292

 

Macro Review 6월 미국 고용: 아직은 양호한 구인수요 | 한경코리아마켓 | 한경닷컴

 

markets.hankyung.com

 

2. 자료 & 자료 요약

자료요약

중국 2/4분기 GDP가 부진 -> 6월 실물지표는 양호

하반기 중국 경기는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

근거 -> 방역 학습효과, 양호한 정책여력, 적극적인 정책 의지 -> 긍정적 요인이 우세

 

중국 2/4분기 GDP:봉쇄 여파로 전기대비 마이너스 성장

2/4분기 GDP는 전년동기대비 0.4% 성장

전기대비로는 2.6% 감소

-> Lockdown 여파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동반 부진

-> 2차산업 YoY +5.8% -> +0.9%

-> 3차산업 YoY +4.0% -> -0.4%

 

6월 실물지표: 경제활동 정상화 반영

6월 실물지표 완화

 

1. 산업생산

전년동원대비 3.9% 증가

국영, 민간 모두 생산 증가세 강화

자동차, 전기 및 통신장비 생산 회복이 두드러짐

봉쇄 강도 약화 및 공장 가동 정상화 흐름 반영

 

2. 소매판매

전년동월대비 3.1% 증가 -> 예상치 크게 상회

재화 판매가 플러스 전환(-5.0% -> +3.9%)

외식 또한 감소 폭 크게 축소(-21.1% -> -4.0%)

자동차를 제외한 재화판매 역시 플러스 전환(YoY +1.4%, MoM +12.6%)

정책지원 하에 자동차 외의 소비 회복세 강화

 

3. 고정자산투자

전년동월대비 5.7% 증가(YoY ytd: +6.1%)

인프라 투자 증가세 강화(+7.3% -> -11.0%)

하반기 부동산 관련 정책 주목할 필요

 

하반기 중국 경기, 완만한 회복세 이어갈 전망

코로나 재확산, 대외수요 둔화 등 경기 하방 리스크를 감아 -> 중국 정부가 제시한 연간 5.5% 성장은 어려움

다만 하반기 중국 경기가 꾸준히 반등할 것이라는 견해 유지

1. 코로나 학습효과

2. 물가 부담이 적어 경기 반등을 위한 정책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음

 

<통화를 풀어 유동성을 높이는 재정 정책, 이에 따라 신용이 증가하는 추세>

3. 새로 알게 된 용어 및 개념 정리

YTD(Year To Date)

4. 마인드맵

5. 궁금한점

1. [그림8]에서 제조업 투자 전체는 증가했지만 일반기계, 컴퓨터 및 전자기기에 대한 설비 투자는 줄어들었다. 결국 다른 항목에 대한 투자가 늘어났다는 것인데 [그림4]를 보면 전기장비, 컴퓨터/통신장비, 자동차의 생산량은 늘어났음을 보여준다. 이를 어떤식으로 해석하면 좋을까? 당장 중국 내 경기 회복에 따른 소비 수요는 있다고 판단되어 생산은 늘리지만 기업들의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반응이라 보면될까? 

 

2. 중국은 성장률을 낮추는 방법으로 코로나에서 빨리 회복했다고 멘토님이 말하셨던 것 같은데 정확히 어떤식으로 재정, 통화정책을 펼쳤는지 궁금하다.